HOME >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 지원내용 > 훈련내용 및 훈련방법
기업진단을 통해 도출한 훈련로드맵에 따라 기업 맞춤형 훈련 개발‧운영 및 원활한 직무전환을 위한 각종 지원프로그램 제공
일반 직무전환훈련
인사이트 제공 교육
신산업구조 및 新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
전문 직무전환훈련
직무교육훈련
산업전환 진행단계 및 기업진단 결과에 따른
체계적 직무훈련
지원프로그램
심리상담(EAP)
컨설팅
경력재설계
노사관계지원
1-1. [전체 협약기업 대상] 산업전환 진행단계 진단
산업전환 진행단계 진단을 통한 단계별 훈련수요 차별화
(진행단계 진단) 대비유형 및 대비수준 등에 따라 ➊선제대응단계, ➋전환단계, ➌정착단계로 기업을 분류
구분 | ➊선제대응단계 | ➋전환단계 | ➌정착단계 |
---|---|---|---|
대비수준 | 기업의 사업전환 계획이 없음 근로자의 직무전환에 대한 인식 및 공감대 형성 전 |
기업이 사업전환 계획을 수립 중이거나, 관련 제품을 개발 중 근로자의 직무전환 수요가 본격적으로 가시화 |
기업이 관련 제품 개발을 거의 완료하였거나, 생산 중 근로자의 직무전환이 활발히 진행되는 단계로, 각종 사후지원이 필요 |
훈련수요 | 일반 직무전환훈련 중심 |
전문 직무전환훈련 중심 |
전문 직무전환훈련 및 지원프로그램 집중 제공 타업종으로의 이‧전직 지원 |
1-2. [일부 협약기업 대상] 조직․경영 진단 및 미래직무분석
조직‧경영 진단과 미래직무분석을 실시하여 기업 맞춤형 훈련수요 및 훈련 프로그램 도출
(조직‧경영 진단) 기업의 제반 환경 및 인력 운영 현황을 분석, 기업의 사업재편을 위한 新 경영 전략 및 인력 양성계획 재설계 지원
(미래직무분석) 신산업에 필요한 업무에 대해, 어떤 목적‧방법에 의해 수행하는지 분석,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능력 등 파악
(훈련프로그램 도출) 조직․경영진단 및 미래직무분석 결과에 따른 기업 맞춤형 훈련프로그램 도출 및 활용
* 신규 사업 공모 시 제출한 협약기업수의 10%에 대해 ‘ⓛ조직‧경영진단+②미래직무분석+③훈련 프로그램 도출’ 실시
(공동훈련센터 1개소당 최대 10개, 협약기업 당 3천만원 지원으로 최대 3억까지 지원)
훈련 로드맵에 따라 일반‧전문 직무전환 훈련 등 진행
➊ (일반 직무전환훈련) 재직자 및 관리자 대상의 신산업구조 및 新 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 및 인사이트 제공 교육
저탄소 전환 정책 기조 및 관련 시장동향, 미래 경영 패러다임(ESG)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제공 및 현업사례 공유
(공유‧개방) 온라인 형태의 일반 직무전환훈련을 타 공동훈련센터에 공유‧개방하는 광역형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 추가 지원
재직자는 세미나, 강연 등의 비연속적인 형태로 실시하거나(지원금 활용), 연속적인 정규 훈련과정으로 편성하여 실시(훈련비 지급)
관리자는 세미나, 강연 등의 비연속적인 형태로 지원금을 활용해 실시
➋ (전문 직무전환훈련) 새로운 직무 습득에 필요한, 기초‧실무‧심화 단계를 아우르는 다양한 수준의 훈련
산업전환 진행단계가 유사한 기업을 묶어 유형별 공동훈련을 실시하나, 특수한 경우 개별 기업단위의 맞춤형 훈련 실시
진단 - 훈련”의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업 및 직무전환에 따른 근로자의 심리적 불안감, 노사갈등 등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심리상담) 직무전환 및 이‧전직 과정에서 근로자들이 겪는 심리적 불안감 및 저항감 해소를 위한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등 제공
(컨설팅) 산업전환 진행 과정상 각종 어려움(경력단절, 노사갈등 등) 조정
(경력재설계) 산업전환 진행 과정상 각종 어려움(경력단절, 노사갈등 등) 조정직무전환에 따른 새로운 경력 개발 지원
(노사관계) 산업전환에 충분한 공감대가 없는 기업에 노사합의 지원
집체훈련, 원격(인터넷/우편)훈련, 혼합훈련 등의 방식 활용
* 세미나 및 강연 등의 운영형태 인정
일반 직무전환훈련의 경우 액션러닝(Action Learning), 팀 학습(Team Based Learning) 등 다양한 훈련방법 활용 가능
S-OJT(기업맞춤형 현장훈련) 및 장기유급휴가훈련을 연계하여 장기과정의 훈련 지원